SCROLL

소식

LAWFIRM HANBYEOL
  • HOME

  • 소식

  • 전소), 안동 국탄댁, 안동 > 기고/집필

기고/집필

전소), 안동 국탄댁, 안동

페이지 정보

test 작성일25-03-27

본문

이외에 전소된 것은 안동 지산성당, 안동 구암정사(일부 전소), 안동 국탄댁, 안동 송석재사, 안동지촌종택등이다.


큰 피해가 없다고 알려진 천연기념물 ‘영양 답곡리 만지송’은 현장 조사 결과, 나무 밑동과 가지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이나 종가가 소장해 온 유물 23건(1566점).


이어 경북 문화유산자료인 안동 지산서당과 민속문화유산 안동 국탄댁·송석재사·지촌종택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다.


경북 기념물 중 하나인 안동 구암정사는 협문이 전소되면서 일부 소실됐다.


경북 의성에서는 8세기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자 통일신라 시대 불상을 연구할 때 귀중한 자료로 꼽히는.


경북 안동 지산서당, 안동 국탄댁, 안동 송석재사, 안동지촌종택은 모두 전소됐다.


안동 구암정사는 일부 소실되는 손해를 입었다.


http://www.hjc.co.kr/


모두 안동에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산불 피해를 본 경북 문화유산자료인 안동 지산서당은 조선 후기 문신 지촌 김방걸(1623∼1695) 선생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이밖에도 경북 기념물인 안동 구암정사 협문이 전소되는 등 일부 소실됐으며 민속문화유산인 안동 국탄댁, 송석재사,지촌종택이 전소됐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현장에서 보호 조치를 먼저 시행하고 이후 승인받도록 신속한 조치를 권고하고 있다”며 “드론을 활용해 예찰과 피해 현황을 기록 중”.


시도지정유산 피해 사례는 △유형문화유산 2건(경북 청송 만세루·경북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기념물 2건(경남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경북 안동 구암정사), △민속문화유산 3건(경북 안동 국탄댁·송석재사·지촌종택), △문화유산자료 5건(경남 하동 두방재·울산 울주 운화리성지·경북 안동 용담사.


경북 문화유산자료 '안동 지산서당'과 민속문화유산 '안동 국탄댁', '안동 송석재사', '안동지촌종택'은 전소됐다.


또한 경북 기념물 중 하나인 '안동 구암정사'는 협문이 전소되면서 일부 소실됐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으로는 안동의 문화유산자료 '용담사 무량전'은 부속건물 1채와 '용담사 금정암.


또, 오늘(27일) 하루 경상북도가 지정한 민속문화유산인 안동 구암정사, 안동지촌종택등이 모두 불에 타는 등 시도 지정 국가유산 피해도 12건으로 늘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경북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 유산에 담당 직원을 배치하고, 소방본부와 공조 체계를 구축했다고.


오늘 추가된 국가유산 피해는 안동 지역에 분포한 것으로,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인 안동 지산서당과 국탄댁, 송석재사,지촌종택은 전소 피해를, 경상북도 기념물인 구암정사는 일부 소실 피해를 입었습니다.


앞서 어제도 안동에서는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인 용담사 무량전의 부속 건물 1채와 8세기.


조선 후기 서당인 지산서당을 비롯해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국탄댁, 조선 중기 세워진 송석재사, 조선 중기 전통가옥지촌종택등이 전소됐다.


조선후기에 건립된 구암정사는 협문이 전소되는 등 일부 소실됐다.


조선 중기에 건립된 용담사 무량전은 부속건물 1채와 금정암 화엄강당이 전소됐다.


안동에서는 임동면 지례예술촌에 산불이 번져지촌종택, 지산서당 등이 모두 불에 탔다.


360년 된 고택인 지례예술촌은 의성(義城) 김씨 지촌 김방걸(芝村 金邦杰)의 종택과 지촌제청, 지산서당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택 체험지로 유명하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하회마을도 위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