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해 단숨에 2,320대로
페이지 정보
test 작성일25-04-07본문
코스피가 미국발상호관세충격으로 7일 5% 넘게 폭락해 단숨에 2,320대로 내려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7.
하락률과 하락폭 모두 작년 8월 5일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에상호관세46%를 매기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상당수가 미국행 선박에 실리고 있어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장상식 무역협회 무역통상연구원장> "46%의 관세를 부담하기 위해서 결국 가격을 올려야 되는데요.
노동 집약 상품의 경우 가격.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는 8∼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포함한 미국 정부 주요 인사를 만나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상호관세인하 관련 협의 등에 나선다.
정 본부장은 방미 기간 트럼프 2기의 관세.
또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관세 공식을 받아들인다 해도 상대국이 부과할 것으로 추정되는 관세를 4배나 부풀리는 오류를 범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오류를 바로잡으면 한국에 부과할 관세율은 25%가 아니라 10%가 된다고 연구소는 분석했습니다.
#트럼프 #상호관세#오류 #한국.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2일 대부분 영국산 제품에 10%상호 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BBC와의 인터뷰에서는 “우리가 이를 다룬 방식을 (스타머 총리가) 아주 만족해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타머 총리는 지난 6일자 선데이타임스 기고에서 “관세가 좋은 소식인 척하는.
청명절 연휴 중국이 34%의 대등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면서 충격은 더 커졌습니다.
미중 간 강대강 대결이 이어지며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한층 높아지면서, 투자금의 대거 이탈이 발생했습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3.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별상호 관세정책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7%), SK하이닉스(-9.
55%), LG에너지솔루션(-1.
82%), 삼성바이오로직스(-5.
03%), 한화에어로스페이스(-8.
중국의 ‘우회 수출기지’로서 캄보디아의 대미 수출이 급증한 가운데, 캄보디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상호관세에서 49%라는 가장 높은 세율을 적용받았다.
닛케이아시아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앞서 시 주석이 이달 말 캄보디아와 베트남, 말레이시아 3국을 방문한다고 보도했다.
국내 증시에 이같은 '블랙먼데이'를 연출한 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상호관세정책입니다.
국내의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하방 요인은 상당 부분 해소됐지만, 미 상무장관이 "관세 부과에 연기는 없다"고 재차 확인하는 등 오는 9일부터 시행될 트럼프발 관세공포는 여전했기 때문입니다.